[이투뉴스] “대한민국의 도시재생은 그동안 노후주택을 싹 밀어서 아파트를 짓는 형태로 이뤄졌다. 하지만 모두 다 그럴 수는 없다. 문화와 역사가 있는 장소까지 함부로 없애선 안된다. 원형을 유지하되 살기 편하도록 바꾸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전주 한옥마을을 비롯해 통영 동피랑 등 문화와 전통이 살아 있는 특색있는 도시에 사람이 몰리고 있다. 서울 북촌한옥마을과 인천 차이나타운, 부산 감천마을 등도 마찬가지다. 낡았다고 모두 허물고 현대식 건물을 올리는 것이 아니라 지역 특색을 살리고, 가치를 더 높이는 새로운 개발모델이 바로 도시재생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만 35년 9개월을 근무한 후 정년퇴직한 김종용 연구위원이 에너지 전문가에서 도시재생 전도사로 변신했다. 지난해 1월 김동연 지사로부터 경기도 도시재생지원센터장 임명장을 받은 이후 벌써 1년 가까이 흘렀다. 분야만 바뀌었을뿐 사람 좋아하고 근면·성실한 모습은 여전하다. 구두 대신 검정색 운동화를 신고, 경기도 구석구석을 다녔단다.
“경기도 31개 시군에 79개 도시재생센터가 있다. 그중 30개 센터는 별도 사무실을 마련해 활동가들이 상주하는 거점공간이다. 향후 거점센터를 90개소로 늘려, 현장마다 하나의 센터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현장에 답이 있다는 생각 아래 거의 모든 현장센터를 다 찾아가 활동가분들은 만나 의견을 수렴했다.”
김 센터장은 도시재생을 ‘제2의 새마을 운동’에 비유했다. “마을길도 넓히고, 푸른동산 가꿔서 부자마을 만들자”는 노래처럼 할 수 있다는 의미다. 원형을 한 번 없애면 되돌릴 수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거점센터와 현장을 찾아 도시재생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강조한 것도 이 때문이다.
다양한 곳에서 활동하는 분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도시재생대학을 만들어 2박 3일간 현장교육은 물론 온라인 콘덴츠도 제공, 상시학습을 가능하게 한 것도 눈에 띈다. 이러한 노력이 쌓여 수원의 옛 경기도청 주변과 화성 주변의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관광객 증대 및 시민휴식공간 조성에도 성과를 거뒀다. 도시재생이 주민 소득증대는 물론 시민편익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한 셈이다.
“지난해 경기주택도시공사가 중심이 돼 국내 첫번째 ‘GH 하우징랩’을 광명 어울리기 문화발전소에 구축했다. 현재 인테리어 공사가 진행 중으로, 광명시 원도심에 도시재생의 비전을 보여주는 시범모델이자 동네 사랑방을 만들어 사업을 널리 알릴 계획이다.”
그는 올해 경기도형 지역가치 향상 프로젝트인 ‘더드림 재생사업’에 통해 도시재생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기 위해 애쓰고 있다. 매년 200억원(도비 100억원, 시·군 100억원)씩 4년 동안 지원한다. 지난해 공모에서 선정된 11개 사업에 평균 18억원씩을 지원했고, 올해도 새로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1회성 지원에 그치지 않고 성과가 우수할 경우 3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전 정부에서 활발하게 전개되던 도시재생이 한 풀 꺾인 것 같아 아쉽다. 정권이 바뀌면서 이름부터 도시혁신, 도시재창조 등으로 바꿨다. 서울은 도시재생센터 문패도 내렸다. 하지만 어떠한 이름이나 형태든 도시재생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경기도의 더드림 사업이 가뭄에 단비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김 센터장은 기후에너지 및 도시재생 관련 사업은 여야가 바뀌고 정권이 달라졌다고 소홀히 할 수 없다고 역설했다. 특히 노후집수리, 건물에너지효율화, 빈집정비, 골목상권살리기, 탄소중립마을, 도시재정비 등 성격이 비슷한 사업을 통합해야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를 모두 다 아우를 수 있는 조직을 만드는 것도 희망사항이다.
“경기도는 대한민국 넓이의 10%, 인구도 1363만으로 우리나라의 26.4%(서울의 1.43배)를 차지한다. 과거와 달리 재개발과 재건축 시대가 끝나가고 있다. 경기도가 먼저 현대판 ‘온고지신(溫故知新)’인 도시재생에 앞장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다리역할을 해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